프로젝트를 진행하며 ORM 기술로 Spring Data JPA를 활용할 때 text 타입을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지 몰랐다.
이때까지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text 타입을 다룰 일이 없어 엔티티의 필드에 text 타입을 적용해 본 적이 없었다.
이 참에 경험을 늘린다 생각하고 어떻게 적용하는지 찾아보았다.
@Lob 애노테이션을 사용하는 곳도 있었고, @Column 애노테이션의 length 속성을 의도적으로 256을 지정해 주는 방법도 있었다.
어떤 방법들이 있는지 알아보자.
'프로젝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RC] - Spring Security의 달라진 점들. (0) | 2025.01.21 |
---|---|
[RC] - DB에서 varchar 타입과 text 타입은 무슨 차이가 있을까? (0) | 2025.01.21 |
[RC] - 1.0 버전 개발 완료 (0) | 2025.01.21 |
[NEST] - DOM을 잘 몰라서 발생한 에러 (1) | 2024.10.16 |
[NEST] - NEST 프로젝트 (0) | 2024.10.16 |
프로젝트를 진행하며 ORM 기술로 Spring Data JPA를 활용할 때 text 타입을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지 몰랐다.
이때까지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text 타입을 다룰 일이 없어 엔티티의 필드에 text 타입을 적용해 본 적이 없었다.
이 참에 경험을 늘린다 생각하고 어떻게 적용하는지 찾아보았다.
@Lob 애노테이션을 사용하는 곳도 있었고, @Column 애노테이션의 length 속성을 의도적으로 256을 지정해 주는 방법도 있었다.
어떤 방법들이 있는지 알아보자.
'프로젝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RC] - Spring Security의 달라진 점들. (0) | 2025.01.21 |
---|---|
[RC] - DB에서 varchar 타입과 text 타입은 무슨 차이가 있을까? (0) | 2025.01.21 |
[RC] - 1.0 버전 개발 완료 (0) | 2025.01.21 |
[NEST] - DOM을 잘 몰라서 발생한 에러 (1) | 2024.10.16 |
[NEST] - NEST 프로젝트 (0) | 2024.10.16 |